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키움증권과 토스증권, 어떤 증권사가 나에게 맞을까?

반응형

1. 키움증권과 토스증권 개요

키움증권

키움증권은 2000년대 초반부터 온라인 증권 거래에 특화된 증권사로 성장했습니다. 국내 주식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HTS(Home Trading System)와 MTS(Mobile Trading System)를 통한 전문적인 주식 거래를 제공합니다.

  • 설립 연도: 2000년
  • 주요 특징: 전문적인 차트, 다양한 주문 방식 지원, 선물·옵션·해외 주식 투자 가능
  • 주요 사용자층: 데이 트레이딩(단타) 및 적극적 투자자

토스증권

토스증권은 2021년 출시된 모바일 기반 증권사로, 투자 경험이 없는 초보자도 쉽게 주식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기존 증권사의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하고, 1주 단위 및 소수점 주식 투자 기능을 도입하여 MZ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설립 연도: 2021년
  • 주요 특징: 직관적인 UI/UX, 쉬운 주식 정보 제공, 소수점 투자 가능
  • 주요 사용자층: 주식 투자 초보자 및 간편한 투자를 원하는 사용자

2. 키움증권 vs. 토스증권 비교 분석

                                    키움증권                                                                   토스증권

설립 연도 2000년 2021년
주 사용자층 적극적인 투자자 (단타, 스윙) 주식 투자 초보자, MZ세대
거래 플랫폼 HTS, MTS, 웹 모바일 앱 중심
수수료 계좌 개설 이벤트 적용 시 무료 국내 주식 거래 수수료 무료 (단, 정책 변경 가능)
주식 투자 가능 범위 국내 주식, 해외 주식, ETF, ELW, 선물·옵션, 공모주 국내 주식, 해외 주식(소수점), ETF, 공모주
소수점 투자 불가능 가능 (해외 주식, ETF)
차트 및 주문 기능 고급 차트 및 다양한 주문 기능 제공 기본적인 차트 제공, 간편 주문 지원
HTS 지원 가능 불가능 (모바일 전용)
모의투자 가능 불가능
API 투자 지원 가능 (퀀트 투자자 활용) 불가능
해외 주식 정식 지원 소수점 투자 가능
고객 지원 전화, 챗봇, 게시판 실시간 채팅, 챗봇

3. 키움증권의 장점과 단점

키움증권의 장점

  1. 전문적인 투자 환경 제공
    • HTS 및 MTS에서 고급 차트 분석, 다양한 주문 방식(시장가, 지정가, 조건부 지정가 등) 지원
    • 데이 트레이딩(단타) 투자자에게 최적화
  2. 해외 주식 및 다양한 금융 상품 제공
    • 미국, 중국, 일본 등 글로벌 시장 투자 가능
    • ETF, ELW, 선물·옵션 등 다양한 상품 거래 가능
  3. API 및 자동매매 지원
    • 퀀트 투자 및 자동매매를 원하는 투자자를 위한 API 제공
  4. 모의투자 가능
    • 실제 투자 전에 연습할 수 있는 기능 제공

키움증권의 단점

  1. UI/UX가 복잡하고 어려움
    • 초보자가 사용하기엔 인터페이스가 다소 복잡할 수 있음
  2. 모바일 앱의 직관성이 부족
    • MTS(모바일 트레이딩 앱)가 다소 무겁고 어려움
  3. 소수점 거래 불가능
    • 해외 주식 소수점 투자 미지원

4. 토스증권의 장점과 단점

토스증권의 장점

  1. 쉬운 인터페이스
    • 초보자를 위한 직관적인 UI/UX로 주식 투자를 쉽게 시작 가능
    • 뉴스 기반 주식 정보 제공으로 종목 선정이 쉬움
  2. 소수점 투자 가능
    • 해외 주식 및 ETF 소수점 투자 지원 (애플, 테슬라 등 소액 투자 가능)
  3. 국내 주식 거래 수수료 무료
    • 현재 국내 주식 거래 수수료 무료 정책 적용 중 (향후 변경 가능)
  4. 모바일 최적화
    • MZ세대를 겨냥한 모바일 중심 서비스로 편리한 투자 환경 제공

토스증권의 단점

  1. HTS 및 웹트레이딩 미지원
    • PC에서 거래할 수 없으며, 오직 모바일에서만 투자 가능
  2. 고급 차트 기능 부족
    • 캔들 차트, 기술적 분석 도구가 부족하여 적극적인 투자에는 다소 아쉬움
  3. 해외 주식 정식 지원 부족
    • 소수점 투자만 가능하며, 정식 해외 주식 거래는 미지원
  4. 모의투자 기능 없음
    • 실전 투자 전에 연습할 수 있는 기능이 없음

 

키움증권과 토스증권은 각각 다른 수수료 정책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키움증권:
    • 주식 거래 수수료:
      • 온라인 거래 수수료는 0.015% ~ 0.25% 정도입니다.
      • 고객의 거래량이나 이용하는 서비스(예: 자동이체, 온라인 등)에 따라 수수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ETF 및 옵션 거래 수수료는 주식 거래와 비슷하게 적용됩니다.
  2. 토스증권:
    • 주식 거래 수수료:
      • 토스증권은 대부분의 거래에서 수수료가 무료입니다. 주식, ETF 거래 모두 수수료가 0%입니다.
      • 주식 매도 시 세금(양도세)은 별도로 부과됩니다.
    • 수수료 없는 점이 큰 장점으로, 소액 투자자나 자주 거래하는 투자자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따라서, 주식 거래 시 수수료 측면에서 보면, 토스증권이 확실히 유리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다만, 키움증권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적극적인 투자자를 위한 플랫폼으로 기능이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5. 키움증권 vs. 토스증권, 어떤 투자자에게 적합할까?

키움증권 추천 대상
단타 매매, 스윙 투자 등 적극적인 주식 거래를 원하는 투자자
해외 주식, 선물·옵션, ETF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거래하고 싶은 사람
HTS, 자동매매(API) 등 전문적인 투자 기능을 필요로 하는 사람
모의투자로 연습하고 싶은 투자자

 

토스증권 추천 대상
처음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초보 투자자
모바일 중심으로 간편하게 투자하고 싶은 사람
소수점 주식 투자(해외 주식, ETF)를 원하는 사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쉬운 매매 방식을 원하는 사람


6. 결론: 키움증권 vs. 토스증권, 최적의 선택은?

전문 투자자 → 키움증권
주식 투자 입문자 → 토스증권
소수점 투자 관심 → 토스증권
HTS, 자동매매 활용 → 키움증권
모바일에서 간편 투자 → 토스증권

결국,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춰 증권사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